본문 바로가기
지나간 글

통풍의 원인과 예방 및 치료법

by 돼지의꿈80 2022. 11. 25.
반응형

통풍의 정의

 

통풍은 요산이 몸 밖으로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과도하게 쌓여서 발생되는 병입니다. 다른 사람이 지나갈 때 일어나는 바람을 맞아도 아픔을 느낀다고 하여 통풍이라고 불립니다.

 

통풍의 원인

 

통풍은 요산이 과다하게 쌓이면서 발병합니다. 요산은 우리가 먹는 여러 가지 음식을 소화하여 최종적으로 대사 된 후에 나오는 물질인데 보통은 혈액 속에 녹아 있다가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하지만 통풍 환자는 혈액 속에 이러한 요산이 지나치게 많이 있습니다. 이렇게 과다하게 쌓인 요산은 알갱이 형태(결정체)로 변하고, 이러한 결정체가 관절 속에 침투하여 염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통풍 환자는 대부분 혈액 속에 요산이 정상보다 현저히 톺은 "고요산혈증"을 가지고 있지만 이 고요산혈증인 사람은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요산이 높다고 모두 통풍 환자인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통풍으로 인한 관절염은 고요산혈증이 심하고, 기간이 오래되는 경우 발병할 확률은 높아집니다.

 

통풍은 여자에게는 잘 걸리지 않고 거의 남자에게만 걸립니다. 대부분은 40~50대에 첫 관절염을 경험하게 됩니다. 통풍은 한 때 좋은 음식을 먹고 자주 술을 마실 수 있는 부유층의 병으로 인식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식생활이 풍부해지면서 사회 계층과는 관계없이 발병합니다.

 

통풍의 증상

 

통풍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발작성 관절염이 점점 횟수가 늘어나고, 발작성 관절염을 느끼는 관절의 수 역시 많아지며 회복하는 시간은 더욱 길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관절염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면 서서히 관절이 손상을 입게 되면서 만성으로 발전합니다. 또한 통풍성 결절이라고 하는 덩어리가 관절 주위나 피하 조직에 발견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통풍성 결절은 요산과 관련된 덩어리로 관절 부분이 아닌 신체 어느 부분이든 생길 수 있지만 주로 팔꿈치, 귀, 손가락, 발가락 발목 등에 많이 생기며 요로 결석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통풍 환자들은 대게 고혈압도 동시에 가지고 있지만 이를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요로 결석이 발생하면서 신장이 상하기도 합니다. 드물게 나타나는 경우이기는 하지만 요로 결석이 관절염보다 먼저 나타나기도 합니다.

 

통풍의 증상을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엄지발가락, 발목, 무릎 등 관절의 한 부분이 갑자기 빨간색을 띠며 부어오르면서 극심한 통증을 동반합니다.

2. 좀 더 심해지면 발열과 오한이 동반됩니다.

3. 처음에는 저절로 통증이 없어지고 부기도 빠져 완전히 회복된 것처럼 보이지만 상당 기간 발병하지 않다가 또다시 비슷한 관절염이 발생합니다.

4. 무릎, 발, 발목, 손목, 팔꿈치 등에 발생하기도 하지만 특히 엄지발가락 관절에 염증이 잘 발생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5. 얇은 이불만 스쳐도 극심한 통증을 느껴, 대부분은 양말을 신지 못 하고 걸음 역시 제대로 걸을 수 없습니다.

6. 낮보다는 밤에 특히 심해져 잠을 잘 이룰 수 없습니다.

 

통풍의 진단과 치료

 

통풍은 의사가 피검사나 관절액을 뽑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진단하지만 보조적으로 X-ray나 CT 촬영을 하여 진단하기도 합니다.

 

통풍은 혈액 속 요산 수치를 낮추기 위해 약물 요법과 식생활 개선을 병행하여 치료합니다.

 

약물은 일단 소염제를 처방하지만 급성 발작이 완전히 가라앉기를 기다린 후 요산 저하제로 치료합니다. 대게 통풍이 완화되지만 요산 저하제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되고 장기간 복용하면서 경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발작의 빈도가 드물거나 다른 부위에 합병증이 없다면 식이 요법 같은 비약물 요법을 시행할 수 있지만 관절염의 빈도가 많고, 가족력이 있거나, 관절 손상, 요로 결석, 통풍 결절이 이미 발병하였다면 고요산 혈증을 낮추는 치료를 평생 지속하여 시행해야 합니다. 

 

통풍은 식습관과 비만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래서 식생활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고단백, 고칼로리식은 통풍성 관절염의 원인인 요산을 발생시키는 퓨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주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잦은 음주와 비만, 고콜레스테롤 혈증, 당뇨, 고혈압 등이 있는지 검사하여 이를 치료하여야 합니다. 

 

통풍의 주의 사항

 

일단 만성이 된 통풍은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치료입니다. 그리고 호전되었다고 해서 약물 투여를 중단하면 재발의 위험성이 커지므로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